본문 바로가기
즐겁고 알차게

제사상 차리는 법 총정리

유교사상이 깊은 한국에서 제사상 차리는 법은 어렵고도 막막하기만 합니다. 오늘 정보만 잘 알아두시고 익혀두신다면 어려운 제사상 차리기는 이제 쉬운 제사상으로 바뀌게 될것으로 보입니다.

 

목차

     

     

    제사상 유래

    제사를 지내게 된 동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먼 옛날 인류가 원시적인 생활을 할 때 천재 지변이나 맹수의 공격 혹은 질병으로부터 보호를 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늘과 땅 심수(深水), 거목(巨木), 높은 산, 바다, 조상 등에게 절차를 갖추어서 빌었습니다. 즉 인체보전을 위한 구복행위가 제사가 생기게 된 동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인간이 자연변화나 어떤 공격체나 및 질병으로부터 보호 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행하여져 온 제사는, 동양에서는 중세와 근대에 이르자 차츰 유교의 영향을 받으면서 조상숭배로 변모하였습니다.

    한국의 제사는 고대부터 신명을 받들어 복을 빌고자 하는 의례로서 자연숭배의 제사 의식이 행해졌습니다. 삼국시대부터는 자연신에 대한 제사가 차츰 자신의 조상에 대한 제사의례로 발전하였으며, 일반 민중보다 왕가에서 먼저 행해졌습니다. 특히나 고려 중기 이후 유교가 유입되면서 조상에 대한 제사 의식은 지배세력인 사대부를 중심으로 급속도로 보편화되었습니다.

     

    예서(禮書)에 의하면 '제왕은 하늘을 제사지내고 제후는 산천을 제사지내며 사대부는 조상을 제사지낸다.'고 하였습니다.[2] 조선시대 초기에는 불교의례의 전통이 강하게 남아 주자가례와 같은 유교의례가 사회전반에 쉽게 보급되지 않았습니다. 16세기 중엽부터 성리학이 심화 되면서 양반 사대부 사회에서 주자가례가 정착하게 되고 주자가례에서 명시된 4대조까지 제사를 지내는 전통이 있었습니다. 오늘날에는 2대조까지 간소화되어 이어져 오면서 조상에 대한 존경과 추모의 표시로 지내기도 합니다.

    제사상 차리는 법

     

    제사상 차리는 법

    사람이 죽으면 제사를 지낸다. 죽은 사람을 그리워하고 추모하는 뜻에서 매년 기일이 되면 제사를 지냅니다. 제사라는 단어를 영어로 쉽게 표현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만큼 한국의 전통적인 문화와 얽혀있는 단어라 그런지도 모릅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제사는 돌아가신 조상을 추모하는 의식입니다. 하지만 체계화된 종교 문화보다 더욱 오래된 한국의 제사를 이렇게 간결하게 설명하기에는 전통의 뿌리가 너무 깊습니다.

     

    대부분의 일신교 나라에서 기일을 챙기는 것은 개인의 몫입니다. 대가족이 모여 음식과 술을 나누는 자리는 마련되지 않습니다.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제사가 끝난 뒤 술과 음식을 나눠먹는 풍습이 가족 간의 우애와 화목을 다지는 의미를 가집니다.

    1. 제사상 차리는 법 - 기일제사(忌日祭祀)

    기일 제사는 조상이 돌아가신 날에 올리는 제사입니다.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기제사가 중시되어 모든 제사에 우선되었고 제수도 가장 풍부하게 차렸습니다. 기일제사에는 다른 제사와 달리 돌아가신 당사자만을 제사하는 것이었으니 신주나 지방도 당사자의 것만 모시고 제수도 단설로 해서 행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대부분의 가문에서 제사 당사자와 그의 배우자를 합설해서 행하는 것이 관행으로 되어왔습니다. 이는 인정으로 보아 당사자 한 분만을 향사하기가 미안하다는 뜻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또는 부모를 함께 제사하는 시제나 이제가 잘 시행되지 않았던 까닭에서 비롯된 풍습으로 생겨났습니다. 기일에는 특별히 근신하는 도리와 처신이 강조되었습니다. 이 날은 술을 마시지 않으며 고기를 먹지 않고 음악을 듣지 않으며 검정 두루마기, 흰옷, 흰 띠를 착용하고 저녁에는 안방에 들지 않고 사랑채에서 잡니다.

    제사상 차리는 법

     

    2. 제사상 차리는 법 - 길제(吉祭)

    길제는 담제를 지낸 다음날 삼순(三旬) 중에 하루를 택하되 정일(丁日)이나 해일(亥日)로 해서 지내는 제사를 말합니다.

    3. 제사상 차리는 법 - 사시제(四時祭)

    사시제는 보통 시제(時祭)라고 부르는 것으로 사계절의 가운데 달(음력 2, 5, 8, 11월)에 고조부모 이하의 조상을 함께 제사하던 합동 제사입니다. 시제는 정재(正祭)라고 불리는 것으로서 제사의 으뜸이며 표상이었습니다. 또 그것은 일종의 축제와도 같은 것으로서 이날은 제사를 마친 후에 친지와 이웃을 초청해서 술과 음식을 대접하는 잔치를 벌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조선시대부터 기제가 중시되면서 시제에 대한 인식은 점차 퇴색되어 간 듯합니다.

    제사상 차리는 법

     

    4. 제사상 차리는 법 - 산신제(山神祭)차례

    묘사와 제사에는 먼저 산신제를 지냅니다. 이 때는 향, 모사 없이 지냅니다. 또 절사에도 산신제가 있으나 이는 절사의 진찬과 절차대로 행합니다. 설, 추석등에 지내는 차례는 오늘날 제사의 상징처럼 중요하게 인식되지만, 예전에는 속절 제사라고 불리던 것으로 예법에 있는 제사가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떠한 예서에도 이 명절의 차례에 대한 전례가 수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명절의 차례는 산(生) 사람들만 즐겁게 지내기 미안해서 마련한 약식 제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차례는 시제에서와 같이 제사의 대수 안에 있는 조상들을 한자리에서 함께 지낸다. 예를 들어 고조까지 4대 봉사하는 가정에는 고조부모 이하의 조상들을 함께 제사하는 것입니다. 예전에는 설날에는 집에서, 한식과 추석에는 묘소에서 차례를 지내는 것이 보통이었지만 지금은 모두 집에서 지내는 것이 관례화되었습니다.

     

    차례의 제사는 일종의 약식 제사로서 그 절차가 아주 간소하였습니다. 술은 한 번만 높여주고 축문도 사용하지 않습니다. 또 떡국이나 면, 떡등 그 계절에 먹는 음식을 높여주고 밥과 국은 올리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근래에는 추석과 설날의 차례에 밥과 국을 올리는 집이 많습니다.

    5. 제사상 차리는 법 - 선조제사(先祖祭祀)

    가례의 선조에 대한 제사는 초조(初祖)와 그 이후 5대조까지 여러 선조에 대한 제사로 나뉩니다. 전자는 시조의 직계 종손만이 행하는 것으로 매년 동지에 거행하고 후자에 대한 제사는 역시 그 선조의 직계 종손만이 제사하는 것으로 매년 입춘에 거행합니다.

     

    시조는 가문과 종속을 있게 한 시조이며 동지는 음기 가운데 양기가 처음으로 생겨나는 때이므로 이때 초조를 제사합니다. 입춘은 만물이 소생하는 시작이므로 그 형상이 선조와 같다 해서 이 날 제사를 드리는 것입니다. 절차는 대체로 사시제와 흡사하게 진행됩니다. 그러나 시조의 직계 종손 외에는 이런 제사를 드릴 의무가 없고 또는 현대에 이런 계절 제사를 모두 시행하기는 어렵습니다.

    제사상 차리는 법

     

    6. 제사상 차리는 법 - 대상

    대상은 초상으로부터 윤달을 결산치 않고 25개월, 즉 만 2년에 마치는 것이며 차례로서는 두 번째 기일에 행하는 제사입니다.

    7. 제사상 차리는 법 - 부모제사(이제)

    부모를 위한 정기 계절 제사는 매년 9월에 거행됩니다. 9월에 행하는 것은 이때가 만물이 이루어지는 계절이기 때문입니다. 그 대부분 진행 절차는 역시 시제와 같고 축문의 문구만 조금 다릅니다. 부모의 제사를 특별히 따로 둔 것은 그 친분이 다른 조상에 비할 바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 역시 오늘날 따로 날을 잡아 행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부모의 기일을 그냥 넘기기도 어렵기 때문에 이를 기일에 행하는 것이 편할 것 같습니다.

     

    차례상 차리는 법

    차례상의 모든 음식의 방향은 조상님 이름이 적혀있는 곳을 중심으로 따져야 하는데,. 요즘에는 정해진 음식이 없으므로 전통적인 방식을 기준으로 적용하면 신위 기준 1열은 반서 갱동이라 하여 밥은 서쪽에 두고 국은 동쪽에 두어야 하고, 신위 기준 2열은 어동육서라 해서 생선은 동쪽에 두고 육류는 서쪽에 두어야 합니다.

     

    시위 기준 3열은 동두서미라 해서 생선의 머리는 동쪽을 향해 두고 꼬리는 서쪽을 향해 두며 신위 기준 4열은 좌포우혜라 해서 포 종류는 왼쪽, 식혜 종류는 오른쪽에 둡니다. 신위기준 5열은 숙서생동이라 해서 익힌 나물 종류를 서쪽방향, 익히지 않은 김치 종류를 동쪽에 두어야 하며 신위기준 6열은 홍동백서라 하여붉은빛을 관찰되는 과일은 동쪽 흰색 빛을 관찰되는 과일을 서쪽에 놓습니다.

    차례상에 올리지 못하는 음식

    차례상에는 붉은빛을 관찰되는 생선은 올리지 않아요. 그리고 과일 중 털난 과일도 올리지 않는 것이 좋아요. 복숭아같은 경우, 귀신을 내보낸다는 과일로 취급이 되는데 차례를 지낼때 조상님들이 오셔서 자손들에게 받는 음식을 접하지 못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지요.

     

    흰살 생선을 올릴때는 삼치나 갈치, 참치, 꽁치 등 끝에 치가 들어가는 생선보다는 어나 기가 들어가는 생선을 올리는 것이 좋아요. 마늘, 혹은 고춧가루로 조리가 된 음식도 마찬가지로 조상님들이 들어오시지 못하게 막는 음식이 될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아요.

     

    제사상에 올라가는 음식들은 대부분 소금 간으로만 조리가 되는 이유도 바로 이러한 이유이지요. 현대에 이르러서는 차례상 차리는 방법이 반드시 전통적인 방식만 고집하는 것이 아닌 생전에 고인이 좋아했던 음식을 상에 올리는 경우들이 많아졌기 때문에 조상님들을 위하는 마음을 예의있게 차려드리는 것 만으로도 큰 의미가 있지 않을까 싶어요.

     

    차례 지내는 법

    강신제주가 향을 피웁니다.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합니다. 신주를 모실 경우에는 혹은 묘지에서는 아래 참신을 먼저 하고 강신합니다. 묘지에서는 모삿그릇 대신 땅에 뿌려도 무방합니다. 참신기제사와 같다. 일동이 모두 두 번 절합니다. 헌주술을 제주가 올립니다. 기제사와 달리 제주가 직접 상 위에 잔에 바로 술을 따르는 것이 보통입니다.

     

    삽시정저떡국 혹은 송편에 수저, 시접에 젓가락을 정돈합니다. 시립일동이 잠시 동안 공손히 서 있습니다. 사신수저를 거둔다. 뚜껑이 있으면 덮습니다. 일동이 2번 절합니다. 지방과 축문을 불사르고, 신주를 썼다면 다시 모신다. 철상, 음복기제사와 같다. 상을 치우고 음식을 나누어 먹습니다.

     

    제사상 차리는 법에 관하여 알아봤어요. 저의 포스팅 내용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항상 건강하고 즐거운 하루 되시기 바래요.

     

    다른 사람이 많이 본 글

    감태 효능 및 요리법 3가지

     

    감태 효능 및 요리법 3가지

    김 같지만 김같지 않은 매우 고급 김이 있어요. 바로 엄청 고가의 엄청나게 맛난다고 소문이 자자한 감태입니다. 이러한 감태는 효능이 엄청나다고 합니다. 오늘 포스팅 주제로 감태 효능을 정

    everythingstory.co.kr

    경주 벚꽃만개시기 & 명소 소개

     

    경주 벚꽃만개시기 & 명소 소개

    코로나 격리 집합 해제로 많은 분들이 이번 봄에 대한 벚꽃놀이에 관하여 관심이 많으십니다. 그중에 최고 벚꽃 군락지인 경주 벚꽃만개시기와 명소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목차 경주 벚꽃만

    everythingstory.co.kr

    동서울터미널 시간표 모음 & 예약 방법

     

    동서울터미널 시간표 모음 & 예약 방법

    우리나라 대중교통의 중요한 곳인 동서울터미널 시간표에 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서울에서 각지방으로 나갈수 있는 중요한 교통수단인만큼 자가이용을 이용하지않으신 분들께 많은 도움이

    everythingstory.co.kr